지게차는 화물을 운반하거나 적재, 하역 작업에 편리하게 사용되는 기계입니다. 하지만 작업 중 충돌 사고나 지게차에서의 추락 등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장비이기도 합니다.
특히 건설업에서는 추락 사고와 함께 지게차 관련 사고가 산업재해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정부는 지게차 안전수칙을 제정하고, 현장에서 이를 철저히 준수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게차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지게차 종류, 안전수칙, 그리고 안전교육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지게차는 타이어식 들어올림 장치와 조종석을 갖춘 기계로, 건설기계관리법과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장비입니다.
📖 지게차 조종 면허 취득 방법 및 조건
1) 지게차 주요 부분 점검
타이어 공기압, 오일량, 제동장치, 조종장치, 하역 및 유압장치, 전조등, 후미등, 백레스트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포크를 올려 점검할 경우, 포크가 갑자기 하강하지 않도록 안전 지주나 안전 블럭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의무화된후진 경보기, 경광등, 후방감지기 등 지게차 안전장치도 반드시 설치 및 점검합니다.
2) 지게차 작업계획서 작성 및 작업지휘자 배치
작업장소의 지형, 지게차 종류와 능력, 화물 종류, 지게차 운행 경로 및 작업 방법 등을 포함한 지게차 작업계획서를 사전에 작성합니다.
작성된 계획을 바탕으로 안전 대책을 마련하여 작업지휘자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고, 근로자에게 작업 내용과 안전 대책을 충분히 안내해야 합니다.
지게차는 앞바퀴로 구동하고 뒷바퀴로 조향하며, 최소 회전 반경이 작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 전 지게차의 작업 반경을 미리 숙지해야 안전한 운행 경로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작업 공간에 적합한 차량을 선택하고 최소 회전 반경을 고려해 충분한 안전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설기계관리법 제31조에 따르면, 건설기계조종사 면허를 소지한 사람은 주기적으로 안전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지게차 운전자는 하역운반 등 기타 건설기계 조종사 안전교육 대상에 포함되며, 교육 주기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게차 면허 취득 조건은 3톤을 기준으로 나뉘지만, 안전교육은 별도로 구분되지 않습니다.
즉, 3톤 미만과 3톤 이상 지게차 운전자를 위한 안전교육은 동일하며 한 번의 교육만 이수하면 됩니다. 이수 후 발급받은 이수증을 소지하면 법적 요건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지게차 안전교육은 대면 교육과 온라인 교육 중 선택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지게차 사고 원인은 충돌, 깔림, 끼임, 떨어짐 등이 대부분입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려면 반드시 자격을 갖춘 운전자가 운행하고, 충분한 시야 확보와 함께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이번 글을 통해 안전한 지게차 사용에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고, 실무에 바로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