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메인인사이트
인사이트

기계설비 기술기준 매뉴얼 - 오·배수 통기 및 우수배수설비 설계 기준

2024-04-11

이번 글에서는 기계설비 기술기준 매뉴얼에 따른 오·배수 통기 및 우수배수설비의 설계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기계설비의 설계 및 시공 기준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열원 및 냉난방설비 설계 기준 >>

열원 및 냉난방설비 시공 기준 >>

공기조화설비 설계 및 시공 기준 >>

환기설비 설계 및 시공 기준 >>

위생기구설비 설계 및 시공 기준 >>

급수·급탕설비 설계 기준 >>

급수·급탕설비 시공 기준 >>

1. 오‧배수 통기 및 우수배수설비 설계 일반사항

기계설비 기술기준 매뉴얼에서는 오‧배수 통기 및 우수배수설비의 설계 기준을 통해 건축물, 시설물 등에서 발생하는 오수나 잡배수 및 우수를 배수관 내 가스의 실내 누설 없이 원할하게 건물 밖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설계 시 지켜야하는 규정을 정하고 있습니다.

2. 오‧배수 통기 및 우수배수설비 설계 기준

• 오‧배수 통기설비 설계 기준

콘크리트 구조체에 배관을 매설하거나 배관이 콘크리트 구조체를 관통할 때는, 구조체에 미리 덧관을 매설하여 배관의 부식을 방지하고 수선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해야합니다. 급식시설 오수관이나 배수관을 설치해야하는 경우에는 노출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모든 트랩의 봉수 보호를 위해 배수관에 통기관을 설계하여 기압차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화학배수관의 통기관은 오·배수배관의 통기관과 분리되어 대기로 인출되어야 합니다.

1) 오‧배수배관

오‧배수배관 설계 시 호칭지름 산정은 최대 기구배수부하단위수를 사용하여 산정해야 합니다. 수평 오‧배수배관의 경우에는 일정한 기울기로 균일하게 정렬해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기울기는 아래 표에 따라 최소 기울기 값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호칭지름(A) 최소 기울기
65 이하 1/50
80~150 1/100
200 이상 1/200

또한 흐름 방향으로 오·배수관의 호칭지름이 축소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수평지관을 수평주관에 연결할 때는 수직관에서 하류로 수직관 호칭지름의 10배 이상 떨어진 수평주관에 연결해야 합니다. 세제를 사용하는 배수관은 하부에서 상부로 호칭지름의 40배 이상 높이까지, 수평관은 굴곡부에서 하류로 지름의 10배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 연결하고, 도피통기관을 설계해야 합니다.

2) 오‧배수 펌프

지하 오·배수는 뚜껑이 덮인 통기 되는 집수정으로 모아서, 펌프로 양수하여 배출해야 합니다. 밸브를 설치할 때는 펌프와 펌프배관 사이에 역류방지밸브와 차단밸브를 설계하며, 이 밸브는 점검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오수펌프

오수펌프는 집수정의 내용물을 자동으로 배수관에 배출하도록 해야합니다. 오수펌프의 유량과 압력은 예상 사용 요구량에 맞게 조절되어야 합니다. 대변기용 배수펌프는 직경 50mm 이하의 고형물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하며, 대변기용 이외의 펌프는 직경 25mm 이하의 고형물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배수 역류방지밸브

배수가 기구로 역류할 가능성이 있는 배수관에는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해 역류를 방지해야 합니다. 또한 역류방지밸브 설치 시에는 점검이 가능한 장소에 설치해야 합니다.

집수정 설계

집수정 펌프와 피트 및 토출배관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 설계해야 합니다.

  • 배수펌프의 유량과 압력은 예상 사용 요구량에 맞추어야 합니다.
  • 집수정의 크기는 직경 450mm 이상이며, 깊이는 600mm 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 배수펌프는 상시 배수가 이루어지는 곳에 최소한 2대 이상 설치되어야 하며, 그중 1대는 예비 용도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3) 청소구

청소구를 설계해야 하는 장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 건물 내의 모든 배수 수평관에는 배수관의 호칭지름이 100A 이하인 경우는 15m 이내, 100A를 넘는 경우는 매 30m 마다
  • 배수 수직관의 최하부 또는 그 부근
  • 건물배수 수평주관과 부지배수관의 연결점 부근
  • 배수 수평지관 및 배수 수평주관의 기점
  • 배수관이 45°를 넘는 각도로 방향을 변경한 개소
  • 상기 이외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개소

은폐 배관이나 바닥 밑 배관, 또는 높이나 공간이 600mm 이하의 좁은 공간에 설계하는 청소구는 마감 벽이나 바닥, 또는 지면까지 연장하여 올리거나 건물 외부까지 연장해야 합니다. 또한 모든 청소구에는 점검구를 설계해야 합니다.

4) 통기

통기관과 통기수직관이나 신정통기관은 통기관이 담당하는 가장 높은 기구의 물 넘침선 위 150mm 이상에서 연결해야 합니다. 통기지관이나 도피통기관 또는 회로통기관의 수평 통기관 높이는 가장 높은 기구의 물 넘침선 위로 150mm 이상 되어야 합니다.

크라운(정부) 통기는 트랩 웨어에서 호칭지름의 2배 이내의 거리에는 통기관을 설계해서는 안 됩니다. 2개의 트랩이나 트랩이 달린 기구를 공용통기 할 수 있습니다. 공용 통기하는 트랩이나 트랩 달린 기구는 같은 층에 있어야 합니다.

루프통기관 설치 시 배수 수평지관의 최대 8개까지의 기구를 루프통기로 할 수 있습니다. 각 기구의 배수관은 루프통기 되는 수평지관에 수평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추가 통기가 필요한 경우 기구들은 각개통기나 공용통기, 습통기, 회로통기 또는 배수통기 겸용으로 통기해야 합니다.

5) 간접배수와 특수배수

- 간접배수

식품 장비와 맑은 물 배수관, 그리고 모든 의료용 위생기구와 장치는 간접배수해야 합니다. 간접 배수관은 배수구와의 공간을 두어 물받이 용기에 간접배수하고, 물받이 용기는 트랩 및 통기관을 설치하여 건물배수관에 연결해야 합니다.

- 특수배수

배수관에는 해로운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거나 배수처리과정을 방해하는 부식성 액체, 폐산, 또는 기타 유해화학물질을 배출해서는 안 됩니다. 이러한 물질들은 승인된 처리장치를 통해 완전히 처리한 후에야 위생 배수관에 배출되어야 합니다.

6) 배수트랩

배수트랩 설계 시 봉수깊이는 50~100mm로 설정해야 합니다. 가동부분이 조립체나 칸막이로 봉수를 형성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구조를 간단하게 유지하고, 배수 시에 자체적으로 청소가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뚜껑이 있는 트랩은 뚜껑을 열었을 때 하류 측으로부터 하수가스가 실내로 침입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 우수배수설비 설계 기준

모든 지붕, 포장지역, 그리고 옥외 마당의 우수는 분리된 우수관이나 하수관으로 배수해야 하며, 배출이 허용된 지점으로 배출해야 합니다. 배수관의 크기는 흐름 방향으로 축소되지 않도록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음쇠는 우수 흐름을 방해하거나 느리게 해서는 안 됩니다. 청소구가 필요한 경우 우수배관에는 청소구를 설계해야 하며, 옥내 우수 수직관의 트랩 크기는 해당 수직관이 연결되는 수평관과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1) 우수배수관의 연결

우수배수관을 연결할 때는 건물의 위생배수관과 우수관은 완전히 분리되어야 합니다. 또한 오수관, 배수관, 또는 통기관으로 사용해서는 안 되며, 마찬가지로 오수관, 배수관, 또는 통기관도 우수 수직관으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2) 집수정과 펌프장치

집수정 펌프는 예상 사용조건에 맞는 유량과 압력을 가져야 합니다. 또한, 집수정은 점검이 가능하고 모든 배수가 중력으로 흐를 수 있는 곳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배출관은 차단밸브와 역류방지밸브를 갖추어야 하며, 배관과 이음쇠의 크기는 펌프 토출관과 같거나 커야 합니다.

3) 공동구 배수설비

집수정의 크기는 유입수를 30분 이상 저장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경우에는 침사조와 이물질 거름 막 등을 설계하여 청소가 쉬운 구조로 해야 합니다. 배수펌프는 수중모터펌프 형식으로 하며, 전체 펌프의 유량은 시간최대 유입수량의 200% 이상이어야 합니다.

집수정에는 수위계측기를 설치하여 배수펌프 기동 정지와 고수위 경보를 설정해야 합니다. 설계 시 배수펌프를 유지보수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하며, 배수펌프를 인력으로 인양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부에 펌프 인양장치를 설계해야 합니다. 또한, 배출관에는 차단밸브와 역류방지밸브를 설계해야 하며, 배관과 이음쇠의 크기는 펌프 토출관 이상으로 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기계설비 기술기준 매뉴얼에 따른 오·배수 통기 및 우수배수설비 설계 기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위에 나와있는 규정대로 안전한 설비를 설계하시기 바라며, 다음 글에서는 시공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간편한 기계설비 점검·관리 알아보기 >
함께보면 좋은 글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시설 관리도 스마트하게,
하다와 함께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