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기계설비 기술기준 매뉴얼에 따른 위생기구설비 설계 및 시공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설비의 설계 및 시공 기준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위생기구설비 설계 및 시공 기준은 시설 내 있는 각종 위생기구에 적용됩니다. 적용되는 위생기구설비는 아래와 같습니다.
💡 적용 범위
위생기구설비를 설계할 때는 기본적으로 모든 설비를 용도에 적합한 재료로 선정해야하며, 기준에 맞는 치수 및 구조로 설계해야합니다.
위생기구 설계 시 급수와 급탕을 동시에 공급하는 기구는 서로 마주보게 하고 왼쪽에 급탕이 공급되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대소변기의 형식과 크기는 사용조건을 고려해 결정해야 합니다.
세면기 설계 시 세면기 배수구의 호칭 지름은 32A 이상으로 해야하며, 배수금구는 십자형 스트레이너를 갖춘 마개부착식이나 폽업식으로 해야합니다.
싱크대 설계 시 배수구의 호칭지름은 40A 이상으로 해야합니다. 또한 배수구가 완전 개방되지 않도록 스트레이너나 거름대를 설계해야 합니다. 배수금구는 스트레이너를 갖춘 마개 부착형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청소싱크 설계 시 싱크는 300mm 이상의 깊이에 설치해야 하고, 배수트랩을 구비해야 합니다. 또한 배수구는 40mm 이상으로 설계해야하며, 배수금구는 마개를 부착해야 합니다.
욕조 설계 시 배수구는 40mm 이상의 배수관에 연결해야하며, 수밑 마개를 구비해야 합니다.
음수기와 냉수기는 음용수배관에 사용하는 기기와 재질로 선정해야 하며, 동시에 수질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설계해야합니다.
비데 설계 시 급수는 토수구공간이나 역류방지기로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비데에 공급되는 급수는 중수가 아닌 시수를 사용해야하며, 물 방출 최대온도는 43℃ 이하로 제한해야 합니다.
위생설비 유닛은 공기의 단축, 공정의 단순화, 시공 정밀도의 향상, 설비의 경량화 등을 고려해 설계해야 합니다.
식기세척기와 세탁기 설계 시 배수는 간접배수로 해야 합니다.
위생기구설비 시공 시에는 위생기구의 설치 위치와 높이에 따라서 토수구 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음수기의 배수는 간접배수로 하여 배수구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도기의 일부를 콘크리트에 묻는 경우에는 신축에 의한 도기의 파손을 막기 위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와 도기와의 접촉면을 두께 3mm 이상의 아스팔트나 그 밖의 방수 및 내식성 물질로 피복해야 합니다.
단, 스톨형 소변기 등의 도기 밑부분 접촉면에는 모래 또는 동등 이상의 효과를 가진 충진재를 채워야 합니다. 기구에 접속한 실내에 노출되는 급수관, 급탕관, 세척관, 배수관이 벽이나 바닥을 관통하는 개소에는 관좌금을 설치해야 합니다.
동양식 대변기 설치 기준
동양식 대변기 설치 시에는 스퍼드를 대변기에 부착하여 고무패킹이 탄력성을 유지하도록 조임너트를 조여야 합니다. 또한 급수관이 매립되는 경우에는 배관 부속의 콘크리트 및 마감재 접촉부위에 탄력성이 있는 방수성 물질(예: 아스팔트)을 도장해야 합니다.
서양식 대변기 설치 기준
서양식 대변기는 플랜지의 테이퍼면과 일치되게 배수관을 확관하여 밀착시킨 후에 설치해야 합니다. 그리고 플랜지에 볼트를 끼워 대변기를 설치하여 대변기 부착나사의 위치를 정해야 합니다.
소변기는 소정의 위치에 수평 또는 정확한 높이로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배수관과의 접속은 소변기용 바닥 또는 벽 플랜지를 사용하여 조임 볼트로 완전하게 접속해야 합니다.
세면기는 벽면에 밀착시킨 후 브래킷, 백 행거, 카운터 방식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해야 합니다. 브래킷 고정은 앵커볼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싱크대 설치 시 싱크배수는 봉수기능이 있는 것으로 선정해야하며, 배수호스와 주방 횡주배수지관과의 연결부위는 기밀성이 확보되어야 합니다.
청소싱크 설치 시에는 설치 위치 및 높이에 정확하게 백행거를 설치하고, 싱크의 윗면이 수평이 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욕조는 바닥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해야 하며, 배수 시에는 욕조 내 물이 남지 않도록 구배를 맞추어 배수구에 설치해야 합니다.
입형 또는 벽걸이형 음수기 설치 시에는 견고하게 설치해야하며, 배수트랩을 설치해야 합니다.
비데 설치 시 비데에 연결되는 급수관은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위생설비 유닛은 벽 및 바닥의 정확한 위치에 수평으로 설치해야 하고, 유닛 등과의 배관접속은 내압, 내구성, 내진성 등을 고려해 접속해야 합니다.
식기세척기 설치 시 급수관은 분기하여 연결해야 하며, 배수는 역류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세탁기 설치 시에는 똑같은 위치에 급수 · 급탕과 배수구를 설치해야 하며, 배수배관은 역구배가 되지 않도록 설치해 합니다.
욕실 및 화장실 비품(ex: 수건걸이, 비누갑, 컵걸이, 칫솔걸이 등)은 각각의 목적에 적합하고 가장 편리한 위치와 높이에 견고하게 설치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기계설비 기술기준 매뉴얼에 따른 위생기구설비 설계 및 시공 기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위 내용을 잘 숙지하시고 규정에 맞는 설계 및 시공을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