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메인인사이트
인사이트

흡수식냉동기 원리 쉽게 이해하고 cop 계산, 관리법까지 한눈에 확인하기(+ 장단점, 구조)

2024-12-05

냉각 시스템을 선택할 때, 에너지 효율성과 환경 친화성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 중에서 흡수식 냉동기는 기계식 냉동기보다 전력 소비가 적고, 에너지 효율이 뛰어난 방식인데요.

하지만 흡수식 냉동기의 구조와 원리, 유형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면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흡수식 냉동기의 기본 개념부터 구조와 원리, COP(효율성) 계산 방법까지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흡수식 냉동기 관리에 필요한 점검 사항도 함께 알려드릴게요!

1. 흡수식 냉동기란

흡수식 냉동기는 화학 반응과 열을 이용해 냉기를 만드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주로 병원, 대형 건물이나 폐열이 많이 발생하는 공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 흡수식 냉동기 장단점

  • 장점
    • 증기압축식 냉동기(기계적 압축 방식)보다 전력소비가 낮다.
    • 친환경적인 냉매(물)와 흡수제(리튬브로마이드)를 사용한다.
    • 폐열이나 저가 에너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좋다.
  • 단점
    •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장비의 중량이 크다.
    • 초기 설치 비용이 비교적 높다.

3. 흡수식 냉동기 구조와 원리

▪ 흡수식 냉동기 구조

  • 증발기: 냉매가 기화하면서 열을 흡수해 냉각 효과를 내는 곳
  • 흡수기: 냉매 증기를 흡수제가 흡수하는 곳
  • 재생기: 냉매와 흡수제를 분리하는 곳
  • 응축기: 냉매 증기를 다시 액체로 만드는 곳

▪ 흡수식 냉동기 원리(사이클 순서)

흡수식 냉동기는 증발기→흡수기→재생기→응축기 순으로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

1) 증발기

응축기에서 나온 액체 냉매가 증발기로 들어오면 압력이 낮아지며 일부가 증발해 기체로 변합니다.

이 과정에서 냉각수의 열을 흡수해 냉각수를 차갑게 만듭니다. 냉각수는 냉방에 사용되고, 냉매는 증기가 되어 흡수기로 이동합니다.

2) 흡수기

증발기에서 온 냉매 증기는 흡수제(리튬브로마이드)에 흡수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은 냉각수로 식혀지며, 흡수제는 냉매를 포함한 상태로 펌프를 통해 재생기로 이동합니다.

3) 재생기

재생기에서 외부 열(폐열이나 증기)을 받아 흡수제에 섞인 냉매를 분리합니다. 냉매는 증기로 변해 응축기로 이동하고, 흡수제는 농축되어 다시 흡수기로 돌아갑니다.

이 과정을 통해 냉매와 흡수제가 분리되며, 흡수제는 재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4) 응축기

재생기에서 온 냉매 증기는 냉각수와 열을 교환하여 액체로 응축됩니다. 액체 상태로 변한 냉매는 다시 증발기로 순환하며 냉각 과정을 반복합니다.

💡 한눈에 보는 흡수식 냉동기 작동 원리

냉매가 증발하며 주변 열을 흡수해 냉각되고, 발생한 증기는 흡수제가 흡수합니다. 흡수제에 녹아든 냉매는 열을 가해 분리하며, 냉매는 순환을 반복해 냉각을 지속합니다.

4. 흡수식 냉동기 종류

▪ 냉매와 흡수제 조합에 따른 구분

  • 리튬브로마이드 흡수식 냉동기
    • 냉매로 물, 흡수제로 리튬브로마이드 용액을 사용합니다.
    • 고온의 폐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대형 건물과 산업용에 적합합니다.
    • 흡수제의 농도를 관리해야 하고, 낮은 온도에서 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암모니아 흡수식 냉동기
    • 냉매로 암모니아, 흡수제로 물을 사용합니다.
    • 낮은 온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암모니아의 독성을 관리해야 합니다.

▪ 재생기 수와 배치에 따른 구분

  • 1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 하나의 재생기를 사용하여 하나의 열원으로 냉매를 분리하는 방식
  •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 두 개 이상의 재생기를 사용하여 여러 열원을 활용, 열 회수 효율이 높은 방식

5. 흡수식 냉동기 COP 계산 방법

▪ COP란?

COP(Coefficient of Performance)는 냉동기나 열펌프의 열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성능 계수라고도 합니다.

쉽게 말하여 사용된 에너지에 비해 얼마나 많은 냉각 효과를 내는지를 측정한 값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COP 값이 클수록 에너지 절약 성능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 COP 계산식

📖  COP = 냉동기가 만들어낸 냉기의 양(kW, kcal 등) ÷ 소비 에너지(kW)

예를 들어 냉동기의 냉각 출력이 10kW이고, 이를 위해 5kW의 에너지를 사용했다면, 이 흡수식 냉동기의 COP는 2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2 = 10kW/5kW).

하지만 냉난방 능력과 소비 전력은 실내 온도와 외부 온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항상 동일한 COP 값이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흡수식 냉동기는 열 에너지를 소비 에너지로 계산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6. 흡수식 냉동기 관리 및 점검사항

  • 열 방출과 공기 순환, 점검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흡수식 냉동기 앞에 최소 5m 이상의 공간을 확보합니다.
  • 흡수제 농도와 상태를 점검하여 성능을 유지하고 부식을 방지합니다.
  • 구조물 내부의 진공 상태를 점검하여 냉각 효율을 유지합니다.
  • 열 전달 성능을 유지하고,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열 교환기와 배관을 점검합니다.
  • 펌프와 밸브 상태를 점검하여 흡수 용액이 원활히 순환하도록 합니다.
  • 발생기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 열원 상태를 관리합니다.
  • 정확한 운영과 문제 조기 감지를 위해 제어 시스템과 센서를 점검합니다.

지금까지 흡수식 냉동기의 개요를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흡수식 냉동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얻으셨기를 바랍니다.

간편한 설비 점검・관리 알아보기 >
함께보면 좋은 글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시설 관리도 스마트하게,
하다와 함께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