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메인인사이트
인사이트

온열질환 예방가이드 알아보기(+ 자율점검)

2024-06-27

날씨가 더워지며 근로자가 온열질환을 겪을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데요. 사용자는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을 위해 폭염과 온열질환에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고용노동부에서는 ‘온열질환 예방가이드’를 배포하여 관련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온열질환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온열질환 예방가이드의 주요 내용과 자율점검 항목을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온열질환이란?

온열질환이란 뜨거운 환경에 오랜 시간 노출되어 발생하는 급성질환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여 38℃ 이상의 체온에서 근육경련, 피로감, 두통과 같은 불편함을 겪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는데요.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온열질환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온열질환 종류

종류 내용
열사병 체온 조절 장애로 체온 40°C 이상, 두통, 오한, 의식 장애 발생. 높은 치사율
일사병 땀 과다로 수분·염분 부족 시 발생. 피로, 근육 경련, 어지럼증 동반
열실신 뇌 혈액 부족에 의한 일시적 의식 상실. 갑작스런 기립이나 장시간 서 있을 때 발생
땀띠 땀 배출 장애로 발진과 물집 발생

2.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

▪ 온열질환 예방 기본 수칙

사업주는 폭염이 오기 전에 사업장 내 온열질환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데요. 그중 기본이 되는 사항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건설현장과 같은 실외 작업장일 경우, 작업자가 일하는 장소와 가까운 곳에 휴식 공간(그늘진 공간)을 마련해야 합니다. 이때 그늘막은 시원한 바람이 통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해야 합니다.

반면 실내 작업일 경우, 상시 작업이 있는 장소의 관리 온도 범위를 정하여 일정 수준을 유지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사업주는 작업자가 일하는 장소에 온·습도계를 비치하고, 국소냉방장치*를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환기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조치는 실내 전체에 냉방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워 외부 기온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장소라면 반드시 이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사업주는 근로자에게 시원하고 깨끗한 물을 제공하여 작업 중 규칙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하고, 폭염특보 발령 시 10~15분 이상의 규칙적인 휴식을 부여해야 합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는 근무시간이나 업무량을 조정하거나 실내에서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는 등 무더운 시간대의 옥외작업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소냉방장치: 공기순환장치, 선풍기, 냉풍기, 이동식에어컨 등

▪ 온열질환 대응 조치

사업주는 온열질환 예방을 위해 기본 조치 외에도 체감온도에 따라 단계별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 공통사항

  • 근로자에게 폭염정보 제공
  • 시원하고 깨끗한 물과 휴식공간 준비
  • 옥외작업이나 실내 더운 장소일 시, 근로자에게 보냉장구 제공
  • 실내작업장일 시, 작업장 내 냉방·환기 시설 점검

💡 체감온도 33℃ 이상(주의) 또는 폭염주의보

  • 매시간 10분씩 그늘에서 휴식 제공
  • 무더운 시간대의 옥외작업 단축 혹은 작업시간대 조정

💡 체감온도 35℃ 이상(경고) 또는 폭염경보

  • 매시간 15분씩 그늘에서 휴식 제공
  •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무더운 시간대의 옥외작업 중지

💡 체감온도 38℃ 이상(위험)

  • 매시간 15분씩 그늘에서 휴식 제공
  • 재난 및 안전관리 등에 필요한 긴급조치 작업 외에 무더운 시간대의 옥외작업 중지

체감온도는 주기적인 환기로 낮출 수 있는데요. 이를 위해 사업주는 관리 온도 설정 및 유지, 환기, 휴식 시간 제공 등을 통해 온열질환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업주는 온열질환 민감군*과 작업 강도가 높은 근로자에게는 휴식 시간을 추가로 배정하거나 옥외작업을 제한할 수 있는데요. 이외에도 현장에 업무 담당자를 지정하여 근로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온열질환 민감군: 비만, 당뇨, 고·저혈압 등 질환자, 온열질환 과거 질환자, 폭염 노출작업 신규배치자

▪ 온열질환 발생 조치

작업 중 온열질환이 발생했다면 사업주는 어떻게 조치·대응할 수 있을까요?

사업주는 작업을 중지한 후, 아래 단계에 따라 신속히 조치해야 합니다.

  1. 온열질환을 호소하는 근로자의 의식 유무를 확인합니다.
  2. 근로자의 의식이 없는 경우, 즉시 119에 구조 요청을 합니다.
  3. 근로자의 의식이 있는 경우, 시원한 장소로 이동하여 간이 조치를 한 후 경과를 관찰합니다.
  4. 조치 및 관찰 이후에도 증상이 개선될 여지가 없다면 즉시 119에 구조 요청을 합니다.
  5. 병원으로 이송된 근로자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고, 증상 개선 이후 곧바로 귀가할 수 있도록 조치합니다.

따라서 온열질환에 민감하거나 무더운 날에도 강도 높은 업무를 지속하는 업종이라면 근로자의 작업 전후로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온열질환 관련 처벌 규정

앞서 살펴본 온열질환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사업주는 다음과 같은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폭염으로 인해 발생한 작업성 질병*은 중대재해처벌법의 중대산업재해에 해당하니, 이 점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폭염으로 인해 발생한 작업성 질병: 고열작업 또는 폭염에 노출되는 장소에서 하는 작업으로 발생한 심부체온상승을 동반하는 열사병(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별표1)

위반 사항 처벌 수준
보건조치(온습도 조절, 환기, 소금·음료수 비치)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
휴식 부여
사업주의 작업 중지
휴게시설 설치 1,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온열질환 자율점검 항목

사업주는 온열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사업장 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

  • 깨끗하고 시원한 물을 제공하는가?
  • 안전한 그늘을 제공하고, 휴식을 제공하는가?
  • 휴식 시간이 적절한가?
  • (실내 작업장일 경우) 상시 작업이 있는 장소에 관리 온도 범위를 정하여 일정 수준 이내로 유지하고 있는가?
  • 야간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실내 온도를 관리하는가?
  • 온열질환 예방가이드를 현장에 게시했는가?
  • 폭염 위험단계별 대응 요령을 숙지 및 준수하고 있는가?
  • 폭염 시, 근로자가 건강상의 이유로 작업 중지를 요청할 경우 즉시 조치했는가?
  • 온열질환 예방에 관한 교육을 실시했는가?
  • 폭염 취약시간(10~12시, 14~16시)에 근로자에게 폭염 위험성을 안내했는가?

온열질환은 건설업종뿐만 아니라 택배·운송업, 항만업, 옥외 공공근로 등의 업종에서도 쉽게 발생할 수 있는데요. 이번 글을 통해 온열질환 대응의 필요성과 방법을 이해하고, 실무에서 적극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사업장 안팎의 시설 관리·점검이 어려우시다면, 현장 시설 관리 솔루션 하다(HADA)를 활용해 보세요! 시설별 점검부터 관리까지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간편한 시설 점검·관리 알아보기 >
함께보면 좋은 글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시설 관리도 스마트하게,
하다와 함께 시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