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새롭게 중대재해처벌법의 적용을 받게 된 중소규모 사업주들은 사업장을 어떻게 운영해야 하는지 고민일 수 있는데요.
이때 산업안전대진단을 활용하면 중대재해처벌법 준수 및 대응을 위해 필요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 및 이행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산업안전대진단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내용과 방법을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산업안전대진단이란 사업장 차원에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점검할 수 있도록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에서 실시하는 자가 진단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여 자체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장의 안전 수준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소 사업장은 산업안전대진단을 활용하여 사업장 내 안전수준을 확보하고, 정부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산업안전대진단의 궁극적인 목적은 중대재해처벌법 대응과 중대재해 예방에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안전대진단의 결과는 사업장 감독이나 벌칙 등 사업장에 불이익을 주는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니, 이 점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산업안전대진단은 안전보건관리체계에 관한 핵심 항목을 기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업주는 사업장 내 작업환경의 위험도, 대응 정도를 스스로 점검하여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세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데요.
산업안전대진단에서 다루는 안전보건관리체계 핵심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중대재해처벌법 제4조, 동법 시행령 제5조).
산업안전대진단은 사업장 규모와 관계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중소규모 사업장(5인~50인 미만)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실제로 2024년에는 중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산업안전대진단을 집중하여 실시한 바 있습니다.
산업안전대진단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소속 사업장의 상황 및 특성에 맞는 안전보건관리체계를 만들어야 합니다.
이후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으로 산업안전대진단에 참여하면 됩니다.
💡 온라인 참여 방법
💡 오프라인 참여 방법
산업안전대진단 결과는 3색 신호등으로 구분되는데요. 각각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사업주는 산업안전대진단 결과에 따라 안전보건관리체계의 수준을 확인하고 안전 확보 및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때 사업주는 다음과 같은 정부 지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방법을 통해 주기적으로 산업안전대진단을 실시하며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개선해 가면 됩니다.
지금까지 산업안전대진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을 걱정하고 계신다면, 산업안전대진단을 통해 사업장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시길 바랍니다.
안전보건관리체계 이행과 위험성 평가 실시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하다(HADA)를 활용해 보세요!
하다에서는 상시 점검부터 기록 일지 관리까지 복잡한 위험성 평가 업무를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점검표를 활용하여 점검 내용을 간편하게 입력하고, 위험성 평가 중에 발견한 위험 요소도 즉시 보고해 보세요. 하다에 기록된 점검 내역은 정확한 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 요소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가시적으로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하다를 통해 위험성 평가를 간편하게 실시·관리하고, 안전보건관리체계도 꼼꼼하게 이행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