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비계는 건축공사, 건물 외벽 도장·도색·청소 등 외벽 작업을 위해 주로 설치 및 사용하는 설비입니다.
달비계를 잘 설치하면 근로자는 높은 곳에서도 여유로운 공간을 확보하여 작업할 수 있고, 고소작업에 따른 낙하위험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장에서 달비계는 고정부와 로프 상태 등에 의해 추락사고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설비이기도 합니다. 실제 2020년 달비계로 인한 사망사고는 16건에 달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달비계란 어떤 설비인지 알아보고, 달비계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로프 기준과 안전수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달비계란 작업대가 달린 줄을 매달고 작업 발판에 앉아 높은 곳에서도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비계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비계란 사람이나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하거나 손이 닿지 않는 높은 곳에서도 작업하기 위해 임시로 설치하는 가설구조물을 의미합니다.
비계의 종류는 설치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달비계 안전관리의 핵심은 ‘로프 관리’에 있습니다.
따라서 관리감독자 등은 기준에 부합하는 작업용 로프와 구명줄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달비계 안전수칙을 알아보기 전에, 달비계 로프 기준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관리감독자는 달비계계 조립·해체 또는 변경 시기·범위 및 절차를 근로자에게 주지시켜야 하며, 근로자는 관리감독자의 지휘에 따라 작업해야 합니다.
조립·해체 또는 변경 작업구역에는 작업자 외의 사람의 출입을 금지하고, 그 내용을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해야 합니다.
비, 눈 등에 의해 날씨가 불안정하고 몹시 나쁜 경우*에는 그 작업을 중단해야 하며, 비계 재료의 연결·해체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폭 20㎝ 이상의 발판을 설치한 후, 근로자가 안전대를 사용하게 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재료·기구 또는 공구 등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에는 달줄 또는 달포대 등을 사용하게 해야 합니다.
*풍속이 초당 10m 이상, 강우량이 시간당 1mm이상,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인 경우
관리감독자 등은 달비계 작업 시작 전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점검 및 보수해야 합니다.
1. 발판 재료의 손상 여부 및 부착 또는 걸림 상태
2. 해당 비계의 연결부 또는 접속부의 풀림 상태
3. 연결 재료 및 연결 철물의 손상 또는 부식 상태
4. 손잡이의 탈락 여부
5. 기둥의 침하, 변형, 변위 또는 흔들림 상태
6. 로프의 부착 상태 및 매단 장치의 흔들림 상태
관리감독자 등은 작업의자형 달비계 설치 시, 작업대의 4개 모서리에 로프를 매달아 작업대가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작업용 섬유로프는 반드시 2개 이상의 견고한 고정점에 풀리지 않도록 결속(8자 매듭)하여 작업 중 로프 풀림에 대비해야 합니다. 이때 작업자의 하중과 작업 시 발생하는 충격하중을 고려하여 로프를 설치해야 하고, 로프의 길이가 작업 높이보다 짧으면 안 됩니다.
또한 구명줄은 반드시 로프와 다른 고정점에 결속하도록 합니다. 이때 각 고정점은 1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고정점과 작업장 하부에 작업 중임을 알리는 경고 표지를 부착하여 다른 사람이 고정점의 로프를 풀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근로자가 로프에 작업대를 연결하여 하강하는 방법으로 작업을 하는 경우, 근로자의 조종 없이는 작업대가 하강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죽이나 고무패드로 작업장의 모서리 부분이나 로프·구명줄에 보호 덮개를 씌워 로프의 절단 및 마모 등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곤돌라형 달비계의 경우, 와이어로프나 달기 체인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관리감독자 등은 이 점에 유의하며 달비계를 설치해야 합니다.
1) 와이어로프를 사용할 수 없는 곤돌라형 달비계
2) 달기 체인을 사용할 수 없는 곤돌라형 달비계
달기 와이어로프, 달기 체인, 달기 강선, 달기 강대 등은 풀리지 않도록 설치(8자 매듭)해야 하며, 작업 발판은 폭을 40㎝ 이상으로 하여 틈새가 없도록 해야 합니다.
작업 발판은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비계의 보 등에 연결·고정해야 하고, 비계의 보·작업발판 등에 버팀을 설치하여 비계가 흔들리거나 뒤집힐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선반 비계에서는 보의 접속부 및 교차부를 철선·이음철물 등을 사용하여 확실하게 접속시키거나 단단하게 연결해야 합니다.
관리감독자 등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달비계 작업 후 로프를 풀 때, 꼬임을 잘 풀어 꺾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꺾임이 발생할 경우, 로프의 강도가 급격히 저하될 수 있습니다.
달비계 작업 후에는 로프 재료의 특성에 맞는 방법으로 로프를 세척하고 건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나일론로프는 수분을 흡수할 경우 아주 딱딱해지기 때문에 항상 건조한 곳에 보관해야 하며, 합성섬유로프는 햇빛에 약하기 때문에 되도록 옥내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업대와 로프는 직사광선을 피하되 공기가 잘 통하는 깨끗한 장소에 보관하도록 합니다.
A. 로프 결속용 철물 등을 설치하여 고정점을 확보해야 합니다.
철물 등 고정점은 앵커로 고정하여 달비계 작업 중에 이탈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작업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A. 고정 강도가 가장 높은 ‘8자 매듭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달비계 로프 고정 시 활용할 수 있는 다른 매듭법과 각각의 강도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달비계 사고의 대부분은 중대재해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달비계의 안전수칙을 파악하고 실무에서 적극 활용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