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기계설비 기술기준 매뉴얼에 따른 급수·급탕설비 설계 기준에 이어 시공 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설비의 설계 및 시공 기준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기본적으로 급수와 급탕 배관은 엘리베이터 승강기 통로, 수조, 전기실 내에는 설치하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지관의 분기부와 기기 접속부 등에는 유지관리를 위한 밸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수평배관에는 공기가 정체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공기가 정체가 예상되는 곳에는 공기빼기밸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급수와 급탕 배관은 콘크리트 구조물 안에 매설하지 않아야 합니다. 급탕온도 제어 시에는 급탕가열장치의 온도조절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하며, 온도제한장치나 혼합장치를 활용하여 위생기구의 급탕온도를 43°C 이하로 제한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수돗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계량기 후단에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1) 급수관
급수배관
수평 배관은 균일한 기울기로 설치되어야 하며, 공기와 물이 모일 수 있는 부분에는 각각 공기빼기밸브와 배수밸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기기 조작과 점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압력계, 온도계 등의 계기를 주변에 설치해야 합니다.
급수관과 배수관이 평행으로 매설될 경우에는 500mm 이상의 수평 간격을 유지하고, 급수관은 배수관 위에 매설해야 합니다. 수직배관은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고 역류에 의한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하며, 건물의 흔들림이나 배관의 진동에 의한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이음을 설치해야 합니다.
펌프 및 펌프유닛 주위의 배관
양수관의 수평배관은 옥상물탱크를 향해 상향 기울기로 배관되어야 합니다. 흡입 수평관은 펌프 쪽으로 짧게 상향 기울기로 배관하고, 필요 시 차단밸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양수관의 운전 중량과 배관의 비틀림 하중이 펌프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방진이음이나 플렉시블 이음 등을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펌프 베드와 콘크리트 기초 사이에 방진구를 설치할 때에는 펌프 측과 모터 측에 적합한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2) 급수펌프
수평형 및 수직형 원심펌프는 패드의 휨 또는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초 위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해야 합니다. 펌프와 모터와의 직결 주축은 정확하게 직선이 되도록 조정하고, 필요에 따라 방진기초를 설정해야 합니다. 또한, 펌프에 밸브 및 관을 부착할 때는 그 운전중량이 직접 펌프에 걸리지 않도록 지지해야 합니다.
3) 저수조
저수조를 옥외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저수조 점검용 뚜껑을 이중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뚜껑 설치 시에는 잠금장치를 부착해야 합니다. 급수 저수조의 내부 및 상부로는 급수관 이외의 배관이 통과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조수조의 드레인 및 물넘침은 간접배수로 해야하며 오버플로관은 방충망을 부착해야 합니다.
1) 급탕배관 및 기기
배관은 구조물을 통과할 때 방화구획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고정되어야 하며, 관의 진동이 다른 구조물로 전파되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배관에는 신축이 가능한 신축이음을 설치하여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하고, 균등한 기울기를 유지하여 역기울기나 공기고임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해야 합니다. 특히 급탕계통에서는 온수의 순환을 방해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기기 주위의 배관
기기 주위의 배관은 플랜지와 밸브를 사용하여 기기류를 쉽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배관의 운전 중량이 직접 기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지지 및 고정시켜야하며, 보일러 및 온수 저장탱크의 배수는 간접배수로 처리해야 합니다. 팽창관은 단독배관으로 설치하고 밸브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안전밸브의 배수는 간접배수로 처리하며, 온수탱크의 보급수관에는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2) 급탕가열장치
난방겸용 급탕가열장치에는 온도를 60°C 이하로 제한할 수 있는 온도조절밸브를 설치해야 합니다. 유지관리, 정비, 교체가 편리하고 상태확인과 점검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압력릴리프 밸브와 온도릴리프 밸브의 배출관은 아래와 같이 설치해야 합니다.
3) 급탕탱크류
온수저장탱크, 팽창탱크 설치 시에는 건축 기초위에 견고하게 설치해야 합니다. 또한 유지관리 및 점검을 진행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설치해야 합니다.
4) 온수공급 계량기
온수공급 계량기 설치 시에는 계량기와의 접속에 연관 및 경질염화비닐관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여기까지 기계설비 기술기준 매뉴얼에 따른 급수·급탕설비 시공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위 글에 정리한 시공 기준을 잘 참고하셔서 규정에 맞고 안전한 급수·급탕설비를 설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