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메인인사이트
인사이트

건설기계 27종부터 차량계 건설기계까지, 건설기계 종류와 개념 한 번에 알아보기

2024-10-03

건설기계 소유자는 건설기계를 취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관할 시·도지사에게 등록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건설기계관리법 등에서는 건설기계 검사, 사업 등록, 조종사 면허, 특별표지 등 다양한 제도를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건설기계의 종류와 개념을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건설기계의 구분과 종류, 개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건설기계란?

건설기계란 건설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 기계를 의미합니다.

건설기계관리법에서는 건설기계에 해당하는 기계를 총 27가지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2. 건설기계 27종

1) 불도저: 트랙터 전면에 배토판을 설치하여 토공 작업에 사용하는 기계

2) 굴착기: 토목·건축·건설현장에서 굴착·적재·파쇄·정지작업 등에 사용하는 기계(포클레인)

3) 로더: 건설 공사 현장에서 토사나 골재를 덤프 차량에 적재 및 운반하는 기계

4) 지게차: 공장·항만·공항 등에서 하역 작업 및 화물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솔리드타이어식 제외)

5) 스크레이퍼: 작업 거리가 멀 때 토사 절토, 운반작업용으로 사용하는 기계

6) 덤프트럭: 토목, 건축공사 등에서 화물이나 골재를 먼 거리로 운반하는 데 사용하는 기계(자동차 등록물 제외)

7) 기중기: 동력을 이용해 화물을 들어 올려 상하, 전후, 좌우로 운반하는 기계(궤도식 제외)

8) 모터그레이더: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에 사용하는 기계

9) 롤러: 다짐장치를 장착하고 지반이나 지층을 다지는 기계

10) 노상안정기: 노상에서 이동하며 토사를 파쇄하거나 혼합하고, 유재를 살포하는 작업까지 가능한 기계

11) 콘크리트 뱃칭플랜트: 시멘트, 자갈, 모래, 물, 혼합재 등을 계량하여 생 콘크리트를 생산하는 기계

12) 콘크리트 피니셔: 생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다듬질하는 기계

13) 콘크리트 살포기: 단순 포설 장치만 장착하여 생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깔아주는 기계

14) 콘크리트 믹서트럭: 드럼을 회전시켜 생 콘크리트가 굳지 않도록 유지하는 기계

15) 콘크리트 펌프: 콘크리트를 대량 운반, 타설할 수 있는 기계

16) 아스팔트 믹싱플랜트: 아스팔트혼합물(아스콘)을 생산하는 기계

17) 아스팔트 피니셔: 아스콘을 노면에 포설하는 기계(아스팔트 페이버)

18) 아스팔트 살포기: 포장면에 아스팔트, 아스팔트 유제, 또는 프라이머를 살포하는 기계

19) 골재 살포기: 노반 공사 시 골재, 소일 시멘트, 성토 등의 재료를 살포하는 기계

20) 쇄석기: 발파원석이나 자갈원석을 적당한 크기로 파쇄해 건설 자재를 만드는 기계

21) 공기압축기: 높은 압력으로 압축된 공기를 생성해 공압 공구에 공급하는 기계

22) 천공기: 건설공사에서 지반이나 암반에 구멍을 뚫는 기계

23) 항타 및 항발기: 기초공사용 말뚝을 박거나 뽑는 기계

24) 자갈 채취기: 자갈, 모래 등을 선별하는 기계

25) 준설선: 수중의 토사나 암반을 파내는 기계

26) 특수건설기계: 건설기계와 유사한 기계로서 국토해양부장관이 정하는 것

27) 타워크레인: 수직 타워의 상부에 위치한 지브를 회전시켜 중량물을 상하, 전후, 좌우로 이동시키는 기계(공장등록대장 등록물 제외)

3. 특수건설기계 종류

건설기계관리법에서 정한 27개의 건설기계 중 26번에 해당하는 ‘특수건설기계’는 국토교통부가 별도로 지정하고 있으며, 그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개념
도로보수트럭 차대 위에 원동기, 호퍼 등을 장착한 도로보수 기계
노면파쇄기 도로를 연속하여 파쇄할 수 있는 기계
노면측정장비 도로 포장 상태 등 노면 상태를 측정하는 기계
콘크리트 믹서 트레일러 콘크리트 혼합 장비를 가진 비자주식 기계
아스팔트콘크리트 재생기 포장된 아스팔트콘크리트를 굴착, 재생하는 기계
수목이식기 수목의 채취 및 운반이 가능한 기계
터널용 고소작업차 원동기, 붐, 버킷을 갖추고 터널 등에서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기계
트럭지게차 운전석과 조정석이 있어 중량물의 적재 및 하역이 가능한 기계

4. 차량계 건설기계 종류(+ 작업계획서 양식)

차량계 건설기계란 동력원을 이용해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건설기계를 의미합니다.

차량계 건설기계는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보건규칙에서 구조 요건과 작업 기준을 규정하고 있습니다(안전보건규칙 제196조).

차량계 건설기계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도저형 건설기계(불도저, 스트레이트도저, 틸트도저, 앵글도저, 버킷도저 등)
  2. 모터그레이더
  3. 로더(포크 등 부착물 종류에 따른 용도 변경 포함)
  4. 스크레이퍼
  5. 크레인형 굴착기계(크램쉘, 드래그라인 등)
  6. 굴착기(브레이커, 드릴 등 부착물 종류에 따른 용도 변경 포함)
  7. 항타기 및 항발기
  8. 천공용 건설기계(어스드릴, 어스오거, 크롤러드릴, 점보드릴 등)
  9. 지반 압밀침하용 건설기계(샌드드레인머신, 페이퍼드레인머신, 팩드레인머신 등)
  10. 지반 다짐용 건설기계(타이어롤러, 매커덤롤러, 탠덤롤러 등)
  11. 준설용 건설기계(버킷준설선, 그래브준설선, 펌프준설선 등)
  12. 콘크리트 펌프카
  13. 덤프트럭
  14. 콘크리트 믹서트럭
  15. 도로포장용 건설기계(아스팔 살포기, 콘크리트 살포기, 아스팔트 피니셔, 콘크리트 피니셔 등)
  16. 골재 채취 및 살포용 건설기계(쇄석기, 자갈채취기, 골재살포기 등)

차량계 건설기계 작업계획서 양식 무료 다운로드 >>

▪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종류

차량계 건설기계 중 하역운반기계는 작업자를 작업 위치로 옮기거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계를 의미합니다.

하역운반기계도 산업재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기계이기 때문에 안전보건규칙에서 구조 요건과 작업 기준을 규정하고 있습니다(안전보건규칙 제10절).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개념
지게차 포크, 마스트 등의 승강으로 화물을 적재 하역하는 운반 기계
구내운반차 작업장 내 운반을 주목적으로 사용하는 차량
고소작업차 높은 장소의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탑승한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차량
화물자동차 화물을 운반하는 구조의 자동차(구내운반차 제외)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작업계획서 양식 무료 다운로드 >>

지금까지 건설기계의 종류와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을 참고하여 소유하고 있는 건설기계의 구분과 범위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건설기계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이 번거로우시다면, 하다(HADA)를 활용해 보세요! 하다에서는 종이로 작성 및 관리하던 건설기계 점검 업무를 디지털화하여 모바일로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부착된 QR코드를 카메라로 스캔하여 안전점검을 손쉽게 실시하고 점검 결과까지 한 번에 공유해보세요! 관리자도 제출된 점검 내용과 점검 현황을 가시적으로 확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번거로웠던 건설기계 점검 업무가 간편해집니다.

간편한 건설기계 점검・관리 알아보기 >
함께보면 좋은 글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시설 관리도 스마트하게,
하다와 함께 시작해보세요